함수 |
설명 |
사용법 |
append() |
리스트 맨 뒤에 항목 추가 |
리스트명.append(값) |
pop() |
리스트 마지막 항목 삭제 |
리스트명.pop() |
sort() |
리스트 항목 정렬 |
리스트명.sort() |
reverse() |
항목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듦 |
리스트명.reverse() |
index() |
지정한 값을 찾아 해당 위치 반환 |
리스트명.index(찾을 값) |
insert() |
지정된 위치에 값을 삽입 |
리스트명.insert(위치, 값) |
romove() |
지정한 값을 삭제 단, 지정 값이 여러 개면 첫 번째 값만 지움 |
리스트명.remove(지울 값) |
extend() |
리스트 뒤에 추가 |
리스트명.extend(추가 리스트) |
count() |
리스트에서 해당 값의 개수를 셈 |
리스트명.count(찾을 값) |
clear() |
리스트 내용을 모두 지움 |
리스트명.clear() |
del() |
해당 위치의 항목을 삭제함 |
del(리스트명[위치]) |
len() |
리스트 전체 항목의 개수를 셈 |
len(리스트명) |
copy() |
리스트 내용을 새로운 리스트에 복사 |
새 리스트 = 리스트명.copy() |
sorted() |
리스트 항목 정렬 후 새로운 리스트에 대입 |
새 리스트 = sorted(리스트명) |
'STUDY CODE > IT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문자열 매소드 (0) | 2021.03.14 |
---|---|
API vs UI (0) | 2021.03.12 |